자료실

  • 자료실
  • 자료실
[기고] 유비무환(有備無患),디지털 경제영토를 확장하라 /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박민영 교수
  • 글쓴이 관리자
  • 작성일 2021-08-30 14:16:14
  • 조회수 18545

KIFFA Magazine 창간호 


Issue & Trend


기고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박 민 영 교수


유비무환(有備無患),디지털 경제영토를 확장하라


2021년은 국제사회로부터 대한민국이 선진국 지위를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원년으로 역사에 기록될 것이다. 최근 개발도상국의 산업화와 국제무역 참여 증진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UN 산하 기구인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에서 회원국들의 만장일치로 우리나라를 개도국 그룹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지위를 변경했다고 발표했다. 1964년 UNCTAD가 설립된 이래 지위가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인정받은 최초의 사례이기에 큰 영광이 아닐 수 없다.


사실 우리나라의 경제규모를 살펴보면 늦은 감도 없지 않다. 우리나라는 2020년 국내총생산(GDP) 1조 6천억 달러로 세계 10위, 수출입 무역규모는 9,800억 달러로 세계 9위를 차지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하에서도 5,124억 달러의 수출실적을 나타내 수출순위 7위를 기록했다. 이는 수출액 5,000억 달러 이상을 달성한 국가가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7개국 뿐이라는 사실을 고려하면 대단한 성과로 평가된다. 1977년 수출 100억 달러 달성 이후 지난 43년간 연평균 9.9% 성장 추이를 나타내었고, 2010년 이후 수출입 무역규모가 1조 달러 내외로 세계 10위권을 유지 중인 우리나라는 경제적 측면에서 이미 세계시장에서 선진국으로서 위상을 확보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기억 속에는 1996년 10월 선진국클럽으로 인식되던 OECD 29번째 회원국으로 결정되고 환호한 지 정확히 1년 이후, 우리나라가 외환위기로 인한 IMF 구제금융이라는 사상 초유의 경제위기와 이를 극복하기 위해 모든 국민들이 분담해야 했던 고통의 경험되었다’며 축배를 들기에는 최근 진행되고 있는 대내외 경영환경변화가 예사롭지 않다. 우리가 긴장을 늦추지 않고 ‘유비무환(有備無患)’의 정신과 자세로 재무장해야 하는 이유이다.


다양한 변화 요인 중 4차산업혁명 요소기술에 기초한 디지털 경제로의 급속한 전환은 기업이나 개인에게 위기이자 기회를 제공한다. 그중에서도 전자상거래 시장의 비약적인 성장은 주목할만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국내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61조 원으로 전년대비 19.1% 증가했다. 온라인 해외직접 판매액(수출)은 5.96조 원, 해외직접 구매액(수입)은 4.1조 원으로 우리나라를 기·종점으로 하는 국경간 전자상거래(Cross Border Electronic Commerce, CBEC) 시장규모가 10조원을 돌파했다. 글로벌 무역시장에서 전통적 기업간거래(B2B) 기반의 일반무역에 의한 연평균 증가율이 2∼3%대인 반면, 전세계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가 연평균 18% 내외, 국경간 전자상거래 규모는 30% 내외의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다. 일반무역 대비 국경간 전자상거래 시장규모가 아직은 1% 미만의 미미한 수준이지만 연평균 증가율 측면에서 10배 이상임을 고려할 때, 글로벌 무역시장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현시점에서 우리가 준비해야 할 대상이 무엇인지 명확하다.  


일반무역과 달리 전자상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물류서비스 수요는 현저하게 다른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일단 거래의 주체가 기업단위(B2B)에서 개인고객단위(B2C)로 세분화 된다. 이러한 변화는 다품종·소량·다빈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물류운영 특성을 요구한다. 기존 창고(Warehouse)가 일반 오프라인 상거래에서 보관(Storage) 기능 중심이었다면, 온라인 상거래에서는 보관기능 이외에 피킹(Picking)·패킹(Packing)·소팅(Sorting)·라벨링(Labeling) 등의 기능이 추가되어 풀필먼트(Fulfillment) 센터로 진화되어야 하는 필연적 이유이다. 또한 기존 기업단위에서 개인고객으로 확장되는 공급망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관리 영역에서의 변화는 택배운송(Home Delivery) 시장의 급속한 성장을 견인한다. 국내 택배운송 시장은 2020년 기준 총물동량 33.7억 개, 총매출액 7조 5천억 원의 실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수치는 2019년 27.9억개의 물동량 대비 20.9%, 2019년 6조 3천억 원의 매출액 대비 18.4%의 급성장 추세를 보여준다. 1인 가구 및 노령인구의 증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촉발된 비대면(Untact) 소비의 증가, 그리고 자동화·정보화 관련 기술의 발전 등 사회경제적 및 기술적 요인을 고려할 때 전자상거래의 발전과 택배시장의 급성장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서로 다른 개인 고객의 물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은 오늘날 로켓배송, 총알배송, 새벽배송 등과 같이 새로운 물류서비스의 등장과 빅데이터(Big Data),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 등의 첨단기술로 무장한 플랫폼(Platform) 기업의 출현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여객운송시장에서 공유경제(Shared Economy)에 기반한 카카오 카풀과 타다와 같은 ‘혁신’적인 플랫폼 기업의 서비스에 대항하여 기존 택시업계가 ‘생존권’ 투쟁으로 대응함으로써 심각한 사회적 갈등을 야기했던 사례는 더 이상 여객운송시장에 국한된 이야기가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제조기업인 나이키(Nike)가 고객과의 직접채널(Direct to Customer, D2C)을 구축하고, 물류경쟁력 확보를 위한 유통기업과 물류기업간 합종연횡, 그리고 SNS 채널을 통해 해외직구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환경하에서 이제 제조·유통·무역의 경쟁력이 물류서비스 역량에 의해 좌우되는 시대가 되었음을 깨닫게 된다. 


글로벌 물류시장의 규모는 2017년 8조 7000억 달러에서 2026년 16조 4,000억 달러로 성장(연평균 성장률 7.3%)할 것으로 추정되고,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2021년 약 2조 7,000억 달러, 2025년에는 약 3조 4,500억 달러를 돌파할 전망이다. 유로모니터는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장이 향후 5년간 연평균 14.4%의 고속성장을 지속해 2024년에는 소매유통시장 내 비중이 19.4%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범국가적 디지털 전환을 도모하기 위해 ‘디지털 뉴딜’ 정책을 천명하고, 미래 물류기술 연구개발(R&D) 지원사업, 스마트물류센터 인증, 물류기업의 디지털 전환 시 금융지원 사업 등 다양한 사업들을 발굴, 추진 중이다. 2021년 7월부터 발효되는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의 제정을 통해 국가가 물류서비스를 국민의 기본권으로 인식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향후 관련 계획 수립 시 대국민 생활물류서비스 지원을 위한 정책개발 노력을 의무화하고 있다는 점은 높게 평가할만 하다.


그러나, 글로벌 물류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선행되어야 할 물류전문기업과 물류전문인력의 육성, 해외 물류인프라 확보 등 국제물류관련 지원정책은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다. 특히,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농림축산식품부, 관세청, 식품의약품안전청 등 부처별로 산재해 있는 물류정책의 범국가적 통합·조정 기능을 담당하는 ‘국가물류정책위원회’의 실질적 위상 강화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물류산업은 연간 약 150조원의 매출을 창출하고, 제조업 대비 약 3배 이상의 고용창출 효과를 나타내어 국가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선진 국가들은 물류산업을 국가의 기간산업과 高 부가가치 산업으로 인식하고 경쟁력 있는 물류전문기업과 물류전문인력을 육성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물류산업에 대한 범국가적 관심과 지원이 요구된다. 대한민국이 선진국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디지털 환경하에서도 글로벌 경제영토를 확장하기 위해 우리 모두가 ‘유비무환(有備無患)’ 의 자세로 지혜를 모아야 할 시점이다.


<KIFFA Magazin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국제물류협회 회원사께는 회보를 우편으로 무료 배포합니다.



목록



이전글 [기고] 국제물류산업 발전을 위한 법적 지원체계 개선 / 前 KM...
다음글 [기고] 우리나라 국제물류의 발전방향 / 한국교통연구원 예...